본문 바로가기
전자회로설계

7진 카운터 회로 설계: 7490과 7447을 활용한 구현

by 모빌리티키즈 2025. 3. 29.
728x90
반응형

 

7진 카운터는 주어진 입력 클록을 기반으로 0부터 6까지의 값을 순차적으로 세고, 다시 0으로 초기화되는 특수한 회로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7490 디지털 카운터7447 디코더/드라이버를 사용하여 7진 카운터를 설계하고, 한 번의 스위치 입력으로 클록이 들어가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준비 부품 및 도구

  1. IC 7490: 디지털 디코드 카운터 (10진).
  2. IC 7447: 7 세그먼트 디코더/드라이버.
  3.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숫자를 표시할 장치.
  4. 푸시 버튼 스위치: 수동 클록 입력을 위한 장치.
  5. 저항 및 전원 공급장치.
  6. 브레드보드와 점퍼 와이어.

📖 회로 설계 및 구현

  1. 7490 핀 연결:
    • 7490은 4비트 이진 카운터로, 기본 10진 카운터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7진 카운터로 사용하기 위해 비동기 리셋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7진 동작을 위해 출력 Q3(2⁴)와 Q1(2²)을 연결한 뒤, 이를 핀 R01R02에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출력이 "7"에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리셋됩니다.
    • 클록 입력은 스위치를 통해 제공하며, 스위치가 눌릴 때마다 클록 펄스가 입력됩니다.
  2. 7447 핀 연결:
    • 7490의 Q0~Q3 출력을 7447 IC의 A, B, C, D 입력 핀에 연결합니다.
    • 7447은 입력된 이진 값을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알맞게 변환하여 출력합니다.
  3.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연결:
    • 7447의 출력 핀 a~g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대응 핀에 연결합니다.
    • 공통 캐소드(Cathode)나 애노드(Anode) 형식에 맞게 전원 또는 접지를 설정하세요.

  1. 클록 입력 설정:
    • 푸시 버튼 스위치를 사용하여 한 번 누를 때마다 단일 클록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합니다.
    • 디바운싱 회로(저항 및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브레드보드작업 회로도

💡 전체 동작

  1. 회로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2. 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7490이 클록 펄스를 받아 출력을 증가시킵니다.
  3. 출력은 0부터 7까지 세며, 7에 도달하면 리셋됩니다.
  4. 7447은 7490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현재 숫자를 표시합니다.
  5. 7447의 6번핀을 GND로 연결을 해야 7진카운터회로로 동작을 시킬 수 있습니다.

🛠 설계 팁

  • 정확한 리셋 타이밍을 위해 IC 7490의 출력과 리셋 핀 연결을 신중히 확인하세요.
  • 디바운싱 회로를 활용하여 스위치 입력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 클록 신호 발생기를 통해 자동화도 가능합니다.

이 설계를 통해 7진 카운터가 효과적으로 동작하며, 실습 과정에서 디지털 논리 설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디지털 회로 설계에 즐거움을 느끼시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